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314

(315/700) 수입유발계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입유발계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입유발계수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할 때 각 산업부문에서 직·간접으로 유발되는 수입액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형태에 따라 산업별 수입유발계수와 최종수요항목별 수입유발계수로 나뉩니다.    산업별 수입유발계수는 수입투입계수표에 생산유발계수표를 곱하여 구하고 최종수요 항목별 수입유발계수는 소비, 투자, 수출 등 항목별 최종수요에 의한 수입유발액을 최종수요액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 연관검색어 생산유발효과 2024. 6. 6.
(314/700) 수요탄력성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요탄력성'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요탄력성 상품의 가격 변화비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비율을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이라 합니다.     탄력성은 반응의 크기를 분석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충격을 주는 쪽과 반응하는 쪽의 변화율을 비교하여 같은 경우를 단위 탄력적이라고 하고, 반응하는 쪽의 변화율이 더 높으면 탄력적,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경우, 한 상품의 가격의 변화비율과 수요량의 변화비율이 동일할 경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1이 되며, 이 경우 수요가 단위 탄력적이라고 합니다. 수요량의 변화비율이 가격의 변화비율보다 작아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으면 수요.. 2024. 6. 5.
(313/700)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이란 경기과열 등으로 인해 개인들의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면서 상대적으로 부족해진 재화 및 서비스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은 생산요소시장과 생산물시장 모두에서 초과수요가 발생할 때 특히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확대재정정책, 과도한 통화량 증가, 민간소비나 투자의 갑작스러운 변동에 따른 수요충격 등은 총수요를 증가시켜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킵니다.    예컨대 정부가 침체에 빠진 경기를 부양하기 위하여 정부지출을 확대하고 세율을 인하하는 등의 급격.. 2024. 6. 4.
(312/700) 속물효과(스놉효과)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속물효과(스놉효과)'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속물효과(스놉효과)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단지 다른 사람들이 많이 구입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심지어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더 이상 입지 않습니다.     명품브랜드 소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를 속물효과 또는 스놉효과(Snob effect)라고 합니다. 즉 특정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고 값이 오르면 오히려 수요가 늘어납니다.    이 용어는 1950년 레이번슈타인(H. Leibenstein)에 의해 스놉(재산과 지위로 거만을 떠는 속물)이 선호하는 브랜드 물품이 일반 구매층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 2024. 6. 3.
(311/700) 소액결제시스템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소액결제시스템'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액결제시스템 소액결제시스템(retail payment system)은 주로 기업이나 개인의 소액거래를 처리하는 자금결제시스템으로서 주로 계좌이체나 지급카드, 수표, 지로 등과 관련된 결제가 소액결제시스템으로 처리됩니다.     소액결제시스템은 거래 대상이 광범위하고 결제건수가 매우 많아 결제건수와 결제유동성을 줄일 수 있는 차액결제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참가기관의 차액결제 불이행 사태에 대비하여 순신용 한도 설정, 사전담보 제공, 손실공동분담제 등과 같은 리스크 관리제도를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액결제방식 - 복수 금융기관간 자금결제에 있어서 일정기간(보통 1일)동안 발생한 거래를 모두 상계.. 2024. 6. 2.
(310/700)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소비자심리지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 소비자를 대상으로 경기에 대한 판단이나 전망 등을 조사하여 지수화한 경제심리지표를 말합니다.     이는 경제주체들의 경기에 대한 판단, 전망 등이 국민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경기상황을 판단하고 미래의 경기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한국은행은 2005년 1/4분기부터 소비자심리지수(CCSI; 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를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종합지수로서, 개별 소비자동향지수(CSI) 가운데 관련 경제지표와 연관성이 높은 생활형편지수, 경제상황지수.. 2024.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