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314

(309/700) 소비자물가지수(CPI)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일반 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표입니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작성하고 있으며 기준년을 100으로 하여 작성됩니다. 조사대상 상품 및 서비스의 구성과 가중치도 경제상황에 맞게 주기적으로 조정됩니다. 현재는 40여 개 가계의 총소비지출에서 구입비중이 큰 500여 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구입가격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일정한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소득 내지 소비금액의 변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소비.. 2024. 5. 31.
(308/700) 소비자동향지수(CSI)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소비자동향지수(CSI)'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동향지수(CSI) 소비자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과 전망, 미래의 소비지출계획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지수화한 것으로, 기업들의 경제를 보는 시각이 반영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와 함께 대표적인 경제심리지수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동향지수(CSI; Consumer Survey Index)는 한국은행이 매월 15일을 전후한 일주일에 걸쳐 전국의 2,200여 가구를 대상으로 5개 부문 17개 항목을 조사한 후 하순경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 CSI는 5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와 같이 항목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작성되며 .. 2024. 5. 30.
(307/700) 소비의 비가역성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소비의 비가역성'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의 비가역성 소비행태를 설명하는 상대소득가설은 소비가 현재소득 이외에도 과거의 최고 소득 수준 또는 타인의 소비 수준과 같은 상대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합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현재소득이 과거의 최고 소득수준에 비해 작아지더라도 소비자는 소비를 소득감소에 비례하여 줄이지 않고 이보다 작은 폭으로 줄이게 되는 소비의 비가역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소비의 비가역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톱니효과(Ratchet effect)는 단기적으로 소득이 변동할 경우 한계소비성향은 일정하지만 평균소비성향은 낮아지는 소비행태를 설명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합니다. 톱니효과(Rat.. 2024. 5. 29.
(306/700) 소득주도성장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소득주도성장'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소득주도성장(income-led growth)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소득분배를 간과해 온 기존의 경제모델을 비판하면서 소득의 형평성이 경제의 성장과 안정성에 긴요하다는 점을 중시합니다.     이에 따르면 임금을 포괄하는 노동소득의 증대를 통한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 또는 안정적인 유지가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데에 매우 중요합니다. 전통적인 경제성장이론에서는 일반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일정하다고 가정함으로써 암묵적으로 이 비율 변화가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간주됩니다.    그러나 노동소득분배율은 1980년대 이래 전 세계적으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 비율의 하락이 총수요에 부정적인 .. 2024. 5. 28.
(305/700) 소득교역조건/소득교역조건지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소득교역조건/소득교역조건지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득교역조건/소득교역조건지수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에 수출물량지수를 곱하여 {수출단가지수/수입단가지수)×수출물량지수} 산출하는 것으로서 수출 금액으로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소득교역조건지수가 상승하였다면 금기의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능력(수량)이 좋아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연관검색어 순상품교역조건 2024. 5. 27.
(304/700) 소득5분위배율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소득5분위배율'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득5분위배율 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전체 가구를 소득수준의 순서에 따라 20%씩 5등분으로 나눈 다음, 소득 상위 20%(5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을 소득 하위 20%(1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입니다. 소득 5분위 배율 값이 커질수록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소득분배가 악화하였음을 의미합니다.   ※ 연관검색어 상대적 빈곤율 지니계수 - 빈부격차와 계층 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배분되는지를 알려준다. 지니계수는 0부터 1까지의 수치로 표현되는데, 값이 '0'(완전평등)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완전불평등)에 근접할수록 불평등.. 2024.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