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314

(321/700) 수쿠크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쿠크'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쿠크 수쿠크(sukuk)란 샤리아(Sharia) 율법을 지키기 위해 투자자들에게 이자수익 대신 배당금 혹은 리스료(사용료) 형태로 수익을 배분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1970년대 이후의 고유가로 자금을 축적한 이슬람 산유국들의 금융수요가 확대되면서 수쿠크가 본격적으로 발달하였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이슬람금융이 전통금융에 비해 보다 안전한 금융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성장세가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샤리아 율법은 금전거래를 통해 이자를 수취하는 것을 부당이득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수쿠크는 특정 자산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수익(실물자산에 대한 전매차익, 임대료 등)을 배당금의 형태로 배분한다는 점에서 일반 채.. 2024. 6. 12.
(320/700) 수출입물량지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출입물량지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출입물량지수 무역지수중 수출입물량의 변동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산출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산출되는 것은 수출입금액이 단가요인과 물량요인의 합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타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출입물량지수는 원유 등의 가격이 변화함에 따라 수출입액이 큰 폭의 변동을 보이는 경우 이 가격요인을 제외한 물량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수출입상황을 파악하는데 활용되는 지표입니다.     ※ 연관검색어 수출입물가지수 2024. 6. 11.
(319/700) 수출입물가지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출입물가지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출입물가지수 수출입 물가지수는 수출 및 수입상품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이 지수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입 상품의 가격변동이 국내물가, 생산활동 및 대외 경쟁 등에 미치는 효과를 사전에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며      주로 수출입관련업체들의 수출채산성 변동이나 수입원가 부담 등을 파악하는 한편 수출입물가지수의 상호비교를 통하여 가격측면에서의 교역조건 등을 측정하는 데에 이용됩니다.    2017년 기준으로 조사대상품목이 수출물가지수는 203개, 수입물가지수는 233개이며, 조사되는 가격기준은 수출 FOB, 수입 CIF를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연관검색어 수출입물량지수 2024. 6. 10.
(318/700) 수출보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출보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출보험 상품수출 시 수출업자가 수입업자의 신용위험, 수입국의 정치상황 등으로 수출대금을 회수하지 못할 위험으로부터 수출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험입니다.     수출보험의 운영을 위해 한국무역보험공사 내에 정부 등으로부터 자금을 출연받아 수출보험기금을 설치하였습니다.    수출보험은 ① 수입국의 수입금지 또는 제한 ② 외국에서의 외환거래 제한 또는 금지 ③ 외국에서의 전쟁 또는 내란으로 인한 금융거래 불능④ 수입국의 전쟁 또는 내란으로 인한 수출 불가능 ⑤ 국외에서 발생한 사유로 인한 운송 불능 등으로 인해 수출업자가 피해를 입을 경우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해 운영되는 금융제도입니다. 2024. 6. 9.
(317/700) 수출경합도지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출경합도지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출경합도지수 특정 국가(Z)에 상품을 수출하는 두 국가(X와 Y)의 수출구조가 비슷할수록 경쟁도가 커진다는 가정 하에서 이들 국가가 Z국 시장에서 직면하는 경쟁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 지수는 X국과 Y국의 특정 상품이 각각의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선택하되 모든 상품에 대해 합산한 후 100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수출경합도지수(ESI; Export Similarity Index)가 100으로 두 국가의 수출구조가 완전히 일치하면 경쟁도가 가장 높은 상황에 있음을, 지수가 0으로 두 국가의 수출구조가 완전히 다르면 경쟁도가 가장 낮은 상태에 있음을 각.. 2024. 6. 8.
(316/700) 수입징수관/지출관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수입징수관/지출관'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입징수관/지출관 국고금의 수입과 지출은 일정한 요식행위인 국가기관의 명령행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국고금의 수입과 지출행위를 결정(명령)하는 국가회계기관은 국고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나 크게 수입을 담당하는 수입징수관과 지출을 담당하는 지출관으로 구분합니다.     이들 수입징수관과 지출관을 명령기관이라 하며 명령기관의 명령행위에 따라 국고금의 실질적인 출납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출납공무원 및 한국은행이 이를 수행합니다. 수입징수관은 각 중앙관서의 장으로부터 수입징수에 관한 사무를 위임받은 공무원으로서 관련법령의 규정에 따라 수입금을 조사·결정하여 납입고지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2024.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