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어린이314 (2/700) 가계수지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가계수지'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계수지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과 쓴 돈(지출)을 비교해서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한 것을 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라 합니다. 가계수지가 흑자를 냈다면 그 가정은 벌어들인 수입 일부만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적자를 냈다면 수입 외에 빚을 추가로 얻어 사용한 것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국민의 소득 수준 및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에 매월 1일 가계부를 나누어 주고 말일까지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다음 이를 매달 초순에 거둬 월의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 2023. 9. 3. (1/700)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가계부실위험지수(HDRI)'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자산 및 실물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갖고 있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r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입니다. 다시 말해 원리금상환비율(DSR)과 부채/자산비율(DTA)을 합친 것으로, DSR은 소득에 대한 채무상환부담을, DTA는 자산에 대한 채무비중을 보여줍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 일 때 1.. 2023. 9. 3. 이전 1 ··· 50 51 52 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