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314

(184/700) 동남아시아국가연합+한·중·일(ASEAN+3)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동남아시아국가연합+한·중·일(ASEAN+3)'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한·중·일(ASEAN+3) 한국, 중국, 일본 및 ASEAN 10개국이 합의하여 1999년 출범한 국제회의체입니다. 동아시아 외환위기를 배경으로 위기 극복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통화·금융협력을 증진하고 경제, 사회·인적자원, 과학·기술, 문화 등 각 분야에서의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현재 추진하고 있는 주요 과제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에 의한 역내 금융지원체제의 설립과 역내 감시체제 강화, 아시아채권시장 육성(ABMI), 중장기과제 연구 및 미래우선협력과제 발굴 등입니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 2005년 5월 태국 치앙마이에.. 2024. 1. 26.
(183/700)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동남아시아의 지역협력기구로서 아세안(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이라고도 부릅니다. 동남아시아 지역협력의 촉진, 외국의 간섭 배제 및 역내 국가의 평화와 안정 수호, 경제·사회·문화·기술 등 각 분야에서의 상호원조를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회원국은 1967년 8월 창설 당시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등 5개국이었으나 1984년 브루나이, 1995년 베트남, 1997년 라오스와 미얀마, 1999년 캄보디아가 차례로 가입하면서 총 10개국으로 늘어났습니다. 주요 기구로는 정상회의,.. 2024. 1. 25.
(182/700) 독점/과점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독점/과점'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독점/과점 독점(monopoly)은 완전경쟁의 정반대인 시장형태로 어느 기업이 시장의 유일한 공급자로 그 기업이 공급하는 상품에 밀접한 대체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독점이 생기는 이유는 생산요소 독점, 정부규제, 생산기술 문제 등으로 시장에 진입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독점기업은 시장의 유일한 공급자이기 때문에 시장가격이 한계수입보다 높은 수준에 형성되므로 소비자는 결과적으로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 합니다. 독점기업은 소비자의 지불용의에 따라 같은 재화에 다른 가격을 부과하여 이윤을 증가시킬 수도 있습니다. 한계수입 - 기업의 생산이 판매로 모두 이어진다는 가정 하에서 기업이 한 단위 재화를 더 .. 2024. 1. 24.
(181/700) 도드-프랭크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도드-프랭크법'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드-프랭크법 이 법은 미국에서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 이러한 위기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오바마 정부가 제안한 내용을 반영하여 2010년 7월에 제정되었으며 1930년대 대공황의 금융개혁 이후 가장 광범위한 개혁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이 법의 공식 명칭은 「도드-프랭크 월가 개혁 및 소비자보호법(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입니다. 이 법안을 입안한 미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크리스 도드(Chris Dodd)와 미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 바니 프랭크(Barney Frank)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이 법.. 2024. 1. 23.
(180/700) 도덕적 해이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도덕적 해이'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덕적 해이 도덕적 해이는 거래당사자의 한쪽이 상대보다 양질의 정보를 더 많이 가지고 있는 상태(정보의 비대칭성)에서 계약이 이루어진 후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면 주주와 전문경영인, 은행과 차입자간의 계약을 들 수 있습니다. 전문경영인은 회사의 경영상황에 대해 주주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주주가 아닌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전문경영인의 도덕적 해이라 합니다. 또한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차입자가 계약대로 차입금을 적절한 투자에 사용하는지를 은행이 정확히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도 도덕적 해이에 해당합니다. 도덕적 해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 2024. 1. 22.
(179/700) 더블딥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더블딥'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더블딥 경기가 두 번(double) 떨어진다(dip)는 뜻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한 후 잠시 경기가 회복되다가 다시 경기침체로 접어드는 연속적인 침체 현상을 의미합니다. 더블딥(double dip)은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사의 이코노미스트였던 로치(R. Roach)가 미국경제를 진단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경기순환의 모습이 영문자 "W"를 닮았다 해서 "W자형 경기변동"(또는 "W자형 불황")이라고도 합니다. 이코노미스트 - 금융산업·금융제도의 변화, 금리변동의 전망, 주식·채권 및 파생상품시장의 전망, 현안문제 등을 분석하여 중장기 투자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경기침체는 2분기 연.. 2024.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