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179/700) 더블딥

by 호기심 Curious 2024. 1. 20.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 중에 하나인 '더블딥'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더블딥

 

경기가 두 번(double) 떨어진다(dip)는 뜻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한 후 잠시 경기가 회복되다가 다시 경기침체로 접어드는 연속적인 침체 현상을 의미합니다.

 

 

 

 

더블딥(double dip)은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사의 이코노미스트였던 로치(R. Roach)가 미국경제를 진단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경기순환의 모습이 영문자 "W"를 닮았다 해서 "W자형 경기변동"(또는 "W자형 불황")이라고도 합니다.

 

이코노미스트 - 금융산업·금융제도의 변화, 금리변동의 전망, 주식·채권 및 파생상품시장의 전망, 현안문제 등을 분석하여 중장기 투자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경기침체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는 경우를 말하므로 더블딥은 경기침체가 발생하고 잠시 회복 기미가 관측되다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에 빠지는 것으로, 1980년대 초 있었던 미국의 경기침체는 더블딥의 예로 자주 거론됩니다.

 

당시 미국경제는 석유파동의 영향 등으로 1980년 1월부터 7월까지 침체에 빠졌으나 이후 1981년 1/4분기까지 빠르게 성장하였는데,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제압하기 위하여 금리를 빠르게 올림에 따라 1981년 7월부터 1982년 11월까지 다시 불황에 빠지는 경기침체를 경험한 바 있습니다.

 

연준(FRB; Federal Reserve BZoard of Governors) - 연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준말.

 

 

 

 

 

※ 연관검색어

 

경기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