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어린이314 (274/700) 비트코인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비트코인'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트코인 비트코인(bitcoin)은 가상통화(암호통화)이자 디지털 지급시스템입니다. 비트코인 시스템은 중앙 저장소 또는 단일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최초의 탈중앙화된 디지털통화라고 불립니다. 이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사람(집단)에 의해 만들어져서 2009년 개방형 소프트웨어로 배포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공유형(peer-to-peer)이며, 거래는 중개자 없이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참여자(nodes) 사이에 직접 이뤄집니다. 이런 거래들은 공유(P2P) 네트워크상 참여자의 작업증명(proof-of-work)을 통해 검증되고 공개된 분산원장인 블록체인에 기록됩니다. 승인된 거래의 새 그룹인 한 블.. 2024. 4. 25. (273/700)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과 관련하여 투입요소의 비용 상승에 의해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을 비용인상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이라고 합니다. 생산의 주요 투입요소인 노동, 자본 등의 비용이 상승하면 기업은 증가한 생산비용을 가격에 반영시키므로 최종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은 경제 내의 생산을 위축시키면서 유발되므로 사람들의 소득 수준이 악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1970년대 발생한 2차례의 오일쇼크(석유가격이 급등하여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비가 크게 상승했음)로 인해 유발된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은 이러.. 2024. 4. 24. (272/700) 비교우위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비교우위'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교우위 국가 간 무역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를 설명한 이론으로 자국 상품의 생산비용이 외국 상품과 비교해 우위를 가질 경우 이러한 상품, 즉 비교우위를 가진 상품의 생산에 특화하여 다른 국가와 무역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고전경제학파 경제학자인 리카르도(D. Ricardo)에 의해 자유무역이 교역 대상국 모두에게 유리하다는 국제 분업 및 무역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습니다. 그러나 노동가치설에 근거하여 노동투입에 따른 요소비용만을 고려하였고 두 나라 간에 두 가지 재화 생산만이 가능하다는 제한적인 가정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상품의 종류가 세분되고 또한 같은 품질과 특성을 지닌 상품.. 2024. 4. 23. (271/700) 비관측경제(NOE)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비관측경제(NOE)'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관측경제(NOE) 비관측경제(NOE; Non-observed Economy)란 합법적이건 불법적이건 모든 경제적 거래에서 발생한 소득을 포함해야 하는 국내총생산(GDP)의 추계 시 이용되는 기초자료와 행정자료가 지하경제나 불법생산 등을 반영하기가 어려워 누락된 경제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비관측경제는 일반적으로 문제영역(problem areas)에 속하는 활동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흔히 지하경제(underground economy)나 은닉경제(hidden economy)로 표현되는 경제활동입니다. 이는 조세나 사회적 의무의 회피, 근로안전이나 소비자보호 등 법적·행정적 규제에 따른.. 2024. 4. 22. (270/700) 블록체인과 탈중앙화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블록체인과 탈중앙화'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블록체인과 탈중앙화 블록체인은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중앙 집중 보관에 따르는 리스크를 제거합니다. 탈중앙화(decentralization)된 블록체인은 계획되지 않은 임시(ad-hoc) 메시지를 송부하고 분산된 네트워크를 활용합니다. 이 네트워크에는 데이터의 중앙 집중에 따른 컴퓨터 범죄자(cracker)가 악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거의 없습니다. 블록체인은 보안방식으로서 공개키 암호방식(public-key cryptography)을 이용합니다. 이 공개키는 '긴 무작위 숫자 띠'로서 블록체인의 주소를 뜻합니다. 이 탈중앙화 시스템에서 모든 참여자(node 또는 miner.. 2024. 4. 21. (269/700) 블록체인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블록체인'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블록체인 블록체인(block chain)은 ①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모든 거래정보를 블록(block) 단위로 기록하여 ② 모든 구성원들에게 전송하고 ③ 블록의 유효성이 확보될 경우 이 새 블록을 ④ 기존의 블록에 추가 연결(chain)하여 보관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입니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자인 해시포인터(a hash pointer, 위변조 점검 수단), 시간표시 및 거래데이터를 포함합니다. 블록체인은 효율적이고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거래를 기록할 수 있는 개방된 분산원장 즉,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합니다. 이는 참여자간 공유(peer to peer) 네트워크가 집단적으로 새 블록을 검증하.. 2024. 4. 20.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