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0 (291/700) 생산자물가지수(PPI)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생산자물가지수(PPI)'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PPI) 국내시장의 제1차 거래단계에서 기업 상호간에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수로서 그 대상품목의 포괄범위가 넓어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수급 동향이 반영된 일반적인 물가수준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목적지수로서의 성격을 갖습니다. 일반목적지수 -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나 상품의 수급 동향, 경기 동향 따위의 일반적인 경제 지표를 파악하기 위한 물가 지수. 흔히 도매물가지수 또는 생산자물가지수를 이용한다.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제1차 거래단계의 가격 즉, 생산자가 제품 한 단위당 실제로 수취하는 기초가격입니.. 2024. 5. 13. (290/700) 생산유발효과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생산유발효과'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생산유발효과 한 나라에서 각 산업의 생산활동은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최종수요의 변화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생산유발효과라 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수출이 1대 증가할 경우 엔진, 타이어와 같은 수많은 중간재가 생산되어야 하고 다시 이들 중간재의 생산을 위해서 냉간압연강재 같은 철강제품, 고무, 타이어코드 등 다른 원료의 생산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생산은 아무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많은 산업에 까지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러한 생산유발효과는 산업간의 수급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무한히 계속됩니다. 생산유발효과는 생산유발계수의 크기로 측.. 2024. 5. 12. (289/700) 생산세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생산세'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생산세 현재 국민계정 작성기준인 국민계정체계(SNA)에서는 조세를 크게 종전 간접세에 해당하는 생산세(taxes on production)와 소득·부 등에 대한 경상세, 자본세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경상세 - 매년 규칙적으로 계속해서 부과징수되는 조세. 자본세 - 과세대상이 수익이 아니고, 수익을 낳는 자본 또는 재산에 대하여 과세하는 조세. 여기서 다시 생산세는 생산물세(taxes on products)와 기타 생산세(other taxes on products)로 분류되는데, 생산물세는 생산자가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 배달, 판매, 이전 또는 기타 용도로 사용하였을 때 이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해 부과.. 2024. 5. 11. (288/700) 상품수지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상품수지'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상품수지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의 상품 수출입 거래를 계상한 것으로, 경상수지의 한 부분입니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흑자, 수출보다 수입이 많으면 적자로 표시합니다. 상품수지의 수출입은 관세청에서 통관기준으로 작성하는 무역수지의 수출입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관세청에서는 상품이 우리나라의 관세선을 통과하면 수출입으로 계상하는 반면, 국제수지의 상품수지에서는 상품의 소유권이 이전되어야 수출입으로 간주하는 소유권이전(change of ownership) 기준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역수지에서 수출은 FOB가격, 수입은 운임 및 보험이 포함되어 있는 CIF가격으로 평가하지만, 상.. 2024. 5. 10. (287/700) 상품공동기금(CFC)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상품공동기금(CFC)'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상품공동기금(CFC) 1989년 7월 설립된 상품공동기금(CFC; Common Fund for Commodities)은 1차산품의 수급 안정을 위한 국제협력 증진과 국제상품협정 체결 촉진 및 기능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국제상품협정에 따른 완충재고 유지를 위한 금융지원, 1차산품의 개발 촉진 및 교역조건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 1차산품에 관한 가맹국간 정보교환 및 정책협의 촉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2016년 말 현재 가맹국은 101개국과 9개 기구(EC, AU, COMESA 등)로 납입자본금은 136.0백만 달러(약정액 기준)이며 출연금은 174.4.. 2024. 5. 9. (286/700) 상장지수펀드(ETF)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상장지수펀드(ETF) 주식, 채권, 통화, 원자재 등의 가격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목표인 인덱스펀드의 지분을 거래소에 상장하여 일반주식처럼 거래토록 한 금융상품입니다. 인덱스펀드(Index fund) - 소극적 투자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신탁(펀드)의 하나이며, 증권시장의 장기적 성장 추세를 전제로 하여 주가 지표의 움직임에 연동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용함으로써 시장의 평균 수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법이다. 최초의 ETF(Exchange Traded Fund)는 S&P500 지수 펀드로 1993년 1월에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기 시작하였고, 국내에서는 2002년 10월 K.. 2024. 5. 8. 이전 1 ··· 5 6 7 8 9 10 11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