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291/700) 생산자물가지수(PPI)

by 호기심 Curious 2024. 5. 13.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 중에 하나인 '생산자물가지수(PPI)'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PPI)

 

국내시장의 제1차 거래단계에서 기업 상호간에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수로서 그 대상품목의 포괄범위가 넓어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수급 동향이 반영된 일반적인 물가수준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목적지수로서의 성격을 갖습니다.

 

일반목적지수 -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나 상품의 수급 동향, 경기 동향 따위의 일반적인 경제 지표를 파악하기 위한 물가 지수. 흔히 도매물가지수 또는 생산자물가지수를 이용한다.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제1차 거래단계의 가격 즉, 생산자가 제품 한 단위당 실제로 수취하는 기초가격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1910년부터 한국은행에서 작성해 오고 있습니다.

 

 

 

 

 

※ 연관검색어

 

소비자물가지수(CPI)

 

기초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