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314

(99/700) 국제회계기준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제회계기준'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제회계기준 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은 기업의 회계처리와 재무제표에 대한 국제적 정합성을 높이기 위해서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가 제정한 회계처리기준을 말합니다. 자본시장 개방등 전 세계의 글로벌화 진전 등으로 국제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의 필요성이 증가한 데다, 특히 2002년 발생한 엔론, 월드콤 등의 회계부정사건을 계기로 국제적으로 회계투명성에 대한 요구도 커짐에 따라 국제회계기준이 마련되었습니다. 엔론 - 엔론은 텍사스 주 휴스턴에 본사를 둔 에너지.. 2023. 11. 1.
(98/700) 국제투자대조표(IIP)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제투자대조표(IIP)'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제투자대조표(IIP) 국제투자대조표(IIP;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는 일정시점 현재 한 나라의 거주자의 비거주자에 대한 금융자산(대외투자) 및 금융부채(외국인투자) 잔액을 기록한 통계표로서 국제수지의 금융계정(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준비자산)과 포괄범위가 동일합니다. 대외투자 - 저축으로 국내총투자를 충당하고 남은 부분을 외국에 빌려준 자금, 즉 한 나라의 국민의 저축이 외국에 투자된 부분으로 대외거래계정상의 잉여를 말한다.     직접투자 - 한 나라의 기업이 해외 현지법인의 경영에 직접 참여(새로운 형태의 기업을 창립하거나, 공.. 2023. 10. 31.
(97/700) 국제통화기금(IMF)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 국제통화 및 금융제도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국제금융기구로서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두고 1945년 12월 설립되었습니다.     설립목적은 국제통화문제에 관한 협력, 국제무역의 확대와 세계경제의 균형적 성장, 외환의 안정 촉진, 다자간 결제제도 확립, 회원국의 국제수지 불균형 완화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회원국의 환율정책 및 외환제도 관련 감시활동, 회원국에 대한 금융지원 및 기술지원, 특별인출권(SDR)의 창출과 운영관리, 저소득국 지원 등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회원국 가입에 특별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며 안정적인 환율제도 운영, 경상지급에 대한 제한.. 2023. 10. 31.
(96/700) 국제원유가격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제원유가격'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제수지표 원유는 전 세계적으로 200여 종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중 국제원유시장의 대표유종은 미국서부텍사스중질유(WTI; West Texas Intermediate), 영국 브렌트유 및 아랍에미레이트(UAE) 두바이유의 세 가지입니다. WTI는 북미, 브렌트유는 유럽 및 아프리카, 두바이유는 중동을 각각 대표하는 기준유가를 정하는 유종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국제원유가격은 1980년대 중반까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 Countries)의 발표가격을 기준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석유파동 등으로 인한 국제원유 가격의 변동성을 회피하기.. 2023. 10. 31.
(95/700) 국제수지표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제수지표'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제수지표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의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발생한 경제적 거래를 국제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기록한 표입니다.     일정기간 동안은 국제수지표가 어느 한 시점에서의 대차상황을 기록한 잔액(stock) 통계가 아니라 일정기간 중에 발생한 거래를 집계한 플로(flow) 통계임을 의미합니다. 거주자(resident)와 비거주자(non-resident)의 개념은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 및 국가 단위의 경우에도 적용합니다. 경제주체가 어디에 살고 있으며 국적이 어디냐 하는 법률상의 국적이나 지리적 영역보다는 경제활동에 있어 주된 경제적 이익의 중심(center of interest)이 어디에 있느냐를 .. 2023. 10. 30.
(94/700) 국제수지(BOP)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제수지(BOP)'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제수지(BOP)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의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발생한 경제적 거래에 따른 수입과 지급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거주자(resident)의 개념은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 및 국가 단위의 경우에도 적용한다. 개인의 경우는 개인이 단순히 어디에 살고있으며 국적이 어디냐 하는 법률상의 국적이나 지리적 영역보다는 경제활동에 있어 이익의 중심지(center of interest)를 기준으로 정의하고 있다.     국제수지(BOP; Balance Of Payments)는 크게 경상수지, 자본수지, 금융계정, 오차 및 누락 등 4개의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상수지는 ① 상품 수출입의 결과인 상.. 2023.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