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제투자대조표(IIP)'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제투자대조표(IIP)
국제투자대조표(IIP;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는 일정시점 현재 한 나라의 거주자의 비거주자에 대한 금융자산(대외투자) 및 금융부채(외국인투자) 잔액을 기록한 통계표로서 국제수지의 금융계정(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준비자산)과 포괄범위가 동일합니다.
대외투자 - 저축으로 국내총투자를 충당하고 남은 부분을 외국에 빌려준 자금, 즉 한 나라의 국민의 저축이 외국에 투자된 부분으로 대외거래계정상의 잉여를 말한다.
직접투자 - 한 나라의 기업이 해외 현지법인의 경영에 직접 참여(새로운 형태의 기업을 창립하거나, 공장을 짓거나, 사업장을 설립하거나, 이미 있는 외국 기업에 주식이나 지분을 취득하는 행위 등)하여 영업이익을 획득할 목적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본, 기술 및 인력 등 생산요소를 해외로 이전하는 대외거래 행위.
증권투자 - 경영 참여 없이 시세차익, 이자 및 배당소득 등을 목적으로 주식이나 채권(국채, 회사채 등) 등에 투자하는 대외거래 행위.
파생금융상품 - 거주자의 대외파생금융거래 관련 평가잔액으로 이익은 파생금융상품(자산)으로, 손실은 파생금융상품(부채)으로 분류.
기타투자 -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등에 포함되지 않는 외국과의 여타 금융거래로서 대출/차입, 무역신용(무역 관련 외상거래), 현금 및 예금, 기타 자산/부채로 구분.
준비자산 - 외환보유액을 의미.
1990년대 이후 국제자본이동이 빈번해지면서 IMF가 회원국들의 대외 금융자산 및 부채의 포지션(잔액)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IMF가 이를 개발하여 회원국들에게 작성·공표하도록 권고하였습니다.
국제수지표(BOP)가 일정기간 동안 국가 간 발생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표라면 국제투자대조표(IIP)는 이러한 경제적 거래의 결과로 나타난 한 나라의 금융자산 및 부채를 보여주는 재무상태표를 말합니다.
국제투자대조표는 한 나라의 대외지급 부담 및 이에 대한 대응능력, 외화유동성 위험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금융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라 대외포지션이 전체적 또는 금융상품의 형태별이나 주체별로 어떤 영향을 받을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일정시점의 대외금융자산/부채 잔액은 거래일 이후 환율이나 주가변동 등으로 인한 가치평가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금융계정의 거래 누계액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한편 국제투자대조표의 대외금융자산/부채에서 지분성(직접투자(지분), 증권투자(주식), 기타지분) 및 파생금융상품 등을 제외한 것은 대외채권·채무 통계와 일치합니다. 국제투자대조표는 한국은행에서 매분기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 연관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