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82/700) 국민소득

by 호기심 Curious 2023. 10. 25.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민소득'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소득

 
국민소득(NI; National Income)이란 넓은 의미로 볼 때 한 나라 안에 있는 가계, 기업, 정부 등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에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가치를 화폐단위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흔히 국민총소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좁은 의미의 국민소득은 요소비용에 의한 국민소득으로 한 나라 국민이 제공한 생산요소에서 발생한 소득의 총액, 즉 노동에 대한 대가인 피용자보수와 자본 및 경영에 대한 대가인 영업잉여의 합계로서 고정자본소모와 순생산 및 수입세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요소비용 - 일정 기간의 임금, 이자, 지대 등 생산 요소의 대가로 쓴 비용. 즉, 근로자에게 노동의 대가로 지급하는 임금, 은행 등 금융기관의 대출금에 대한 이자, 공단분양가, 각종 물류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용자보수 - 경제 주체에 배분되는 소득 중에서 노동 제공자에게 돌아가는 부분.
 
영업잉여 - 자본과 경영을 제공해 생산활동을 주관한 경제주체에 돌아가는 부분.
 
고정자본소모 - 건축, 구축물, 설비, 기계 등 재생산 가능한 유형고정자산에 대하여 통상적인 마손(마찰에 의해 닳음) 및 예견되는 멸실(물리적 존재의 상실) 등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정도의 가치 감소분을 평가한 것. 국민계정에서는 이와 같이 생산자가 현 수준의 생산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비축하고 있는 부가가치의 일부분을 고정자본소모라 한다.
 

 

 
 
즉 한 나라의 국민이 벌어들인 순수한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다음과 같이 산출합니다.
 

 
국민소득(NI)

= 국민총소득 - 감가상각 - 생산 및 수입세 + 보조금
= 국민순소득 - 생산 및 수입세 + 보조금
= 국민순소득 - 순생산 및 수입세
= 피용자보수 + 영업잉여
= 임금 + 지대 + 이자 + 이윤

 

 

 

※ 연관검색어

 

국민총소득(G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