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81/700) 국민부담률

by 호기심 Curious 2023. 10. 23.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국민부담률'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민부담률

 
국민부담률(tatal tax revenue as percentage of GDP)이란 조세와 사회보장기여금이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조세부담률+사회보장부담률)을 말합니다.
 
사회보장기여금 - 사회보장제도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취급되고 있는 사회보험제도를 운영함에 있어 일정한 사회구성원으로부터 사회보험료를 갹출할 필요가 있고 이때 갹출되는 사회보험료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사회보장분담금 또는 사회보장세라고 하기도 한다.

갹출 - 한 목적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각기 금품을 냄
 

 

 
 
이는 조세를 명목GDP로 나눈 조세부담률과 국민이 부담하는 사회보장기여금을 명목GDP로 나눈 사회보장부담률을 합친 개념입니다.
따라서 조세부담률보다 포괄적으로 국민부담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조세부담률 - 국민들이 소득 중에서 얼마만큼을 세금으로 부담하느냐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법인을 포함한 국민들이 1년 동안 낸 세금 총액을 국민총생산(GNP)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조세부담률이 국민의 조세부담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이기는 하나 국민들이 강제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연금 및 사회보험의 부담은 나타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OECD는 미래에 보장급부를 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모든 강제적인 납부액 즉, 사회보장기여금(social security contributions)을 일종의 조세로 분류하여 국민부담률을 산출하고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회원국 간 상호 정책조정 및 협력을 통해 세계경제의 공동 발전 및 성장과 인류의 복지 증진을 도모하는 정부 간 정책연구 협력기구이다.
 
 

 
 
국민들은 강제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등의 사회보장기여금을 세금과 비슷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국민부담률이 실제 국민들이 체감하는 부담 수준을 더 정확히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연관검색어

 

조세부담률 - 국민들이 소득 중에서 얼마만큼을 세금으로 부담하느냐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법인을 포함한 국민들이 1년동안 낸 세금총액을 국민총생산(GNP)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