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구인배율'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인배율
노동의 수요와 공급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자리수를 취업 희망자수로 나누어 구하는데 인력수급동향을 파악하는데 주로 이용됩니다.
즉 직업을 구하는 사람에 대하여 기업에서 사람을 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에서 사람을 구하는 수를 직업을 구하는 사람의 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구인배율 0.7은 취업 희망자 열 명당 일곱 개의 일자리가 있다는 의미로 수치가 높을수록 고용사정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기업활동의 확대와 축소를 반영해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경기상황에 따라 경제성장률이나 실업률 등에 비해 더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6년부터 작성하여 왔습니다. 외환 위기 이전에는 구인배율이 1을 웃돌아 일자리가 남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 이후에는 대개의 경우 구인배율이 1에 못 미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최근의 고용사정이 과거에 비해 좋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구인배율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상의 해당 월 신규 구직자수를 해당 월 신규 구인건수로 나누어 구합니다.
※ 연관검색어
실업률갭 -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를 말한다.
자연실업률 - 인플레이션율이 더 빨라지지도 느려지지도 않는 인플레이션율이 안정적인 상태에서의 실업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