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65/700) 구인배율

by 호기심 Curious 2023. 10. 12.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 중에 하나인 '구인배율'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인배율

 

노동의 수요와 공급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자리수를 취업 희망자수로 나누어 구하는데 인력수급동향을 파악하는데 주로 이용됩니다.

 

즉 직업을 구하는 사람에 대하여 기업에서 사람을 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에서 사람을 구하는 수를 직업을 구하는 사람의 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구인배율 0.7은 취업 희망자 열 명당 일곱 개의 일자리가 있다는 의미로 수치가 높을수록 고용사정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기업활동의 확대와 축소를 반영해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경기상황에 따라 경제성장률이나 실업률 등에 비해 더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6년부터 작성하여 왔습니다. 외환 위기 이전에는 구인배율이 1을 웃돌아 일자리가 남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 이후에는 대개의 경우 구인배율이 1에 못 미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최근의 고용사정이 과거에 비해 좋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구인배율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상의 해당 월 신규 구직자수를 해당 월 신규 구인건수로 나누어 구합니다.

 

 

 

※ 연관검색어

 

고용률

 

실업률갭 -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를 말한다.

자연실업률 - 인플레이션율이 더 빨라지지도 느려지지도 않는 인플레이션율이 안정적인 상태에서의 실업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