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43/700) 고용률

by 호기심 Curious 2023. 9. 18.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고용률'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률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즉,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끼게 합니다.
 
비경제활동인구 - 노동가능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은 사람, 즉 일할 능력이 없거나 일하고자 하는 의사가 없는 사람.

 

 

 


 
그러나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업자 - 경제 활동에 참여할 연령의 사람 가운데 직업이 없는 사람,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 및 일시휴직자 등 불완전취업자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국민들이 체감하는 고용상황과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고용률(%) = 취업자 / 15세이상인구 X 100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X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