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0 (333/700) 스태그플레이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경기침체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경기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었습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특히 1970년대 들어 두 번의 유가파동을 겪으면서 실업이 늘어나는 침체기에도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실업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증가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내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상승)을 합성한 용어입니다. 즉 국민소득의 증가세가 축소되는 경기침체와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 2024. 6. 26. (332/700) 스왑레이트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스왑레이트'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왑레이트 외환스왑시장의 가격변수인 스왑레이트(swap rate)는 현물환율 대비 선물환율과 현물환율의 차이(=(선물환율-현물환율)/현물환율)를 연율(%)로 표시한 것으로 이론적으로는 양 통화 간 금리차와 일치(covered interest rate parity)하게 됩니다. 현물(Existing Goods) - 매매의 대상물이 이미 시장에 실존하고 있는 것으로서 선물(Future Goods)과 대비되며, 계약과 동시에 인도되는 주식이나 상품 따위의 현품을 의미한다. 스왑레이트는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을 나타내는 대용지표(proxy)로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국내 금융기관의 외화자금사정이 악화되면 금융.. 2024. 6. 25. (331/700) 스왑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스왑'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왑 거래 쌍방이 미리 정한 계약조건에 따라 현재시점에서 원금, 이자 등을 서로 교환하기로 하고 일정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원금이나 이자지급 등 현금흐름(cash flow)을 서로 교환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스왑거래의 예로는 동일 통화의 일정 원금에 대해 서로 다른 이자(예: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를 교환하는 이자율스왑(interest rate swap)과 서로 다른 통화의 일정 원금과 이에 대한 이자의 지급을 교환하는 통화스왑(currency swap)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통화스왑의 경우 이자율스왑과 달리 거래 시작과 만기 시점에 원금의 교환이 발생합니다. 이자율스왑 중 가장 일반적이고 단순한 형태.. 2024. 6. 24. (330/700) 스무딩오퍼레이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스무딩오퍼레이션'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무딩오퍼레이션 우리나라는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어서 환율이 원칙적으로 외환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되도록 하고 있으나, 일시적인 수급불균형이나 시장 불안심리 등으로 환율이 급변동하는 경우에 한해 외환당국이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변동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스무딩오퍼레이션(smoothing operation)이라 합니다. 외환당국 - 외환정책이나 자금을 운용하는 정부와 중앙은행을 말한다. 정부 부처 가운데 우선 기획재정부가 외국환평형기금을 만들어 운용한다. 외국환평형기금이란 자국 통화가치의 안정을 도모하고 투기적인 외화유출입에 따른 외환시장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2024. 6. 23. (329/700) 스마트계약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스마트계약'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계약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일정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거래가 실행되도록 작성된 컴퓨터 프로토콜 또는 코드를 뜻합니다. 1996년 닉 자보(Nick Szabo)가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는 이 새로운 스마트계약이 디지털 혁명에 의해 종이 계약보다 더 기능적이며, 인공지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계약 당사자들의 약속을 실행하게 만드는 프로토콜을 가진 디지털 형태의 약속세트라고 정의하였습니다. 2015년 7월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컴퓨터 분산네트워크를 구성해서 금융거래 이외에도 계약기능 등을 구현.. 2024. 6. 22. (328/700) 슈퍼301조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슈퍼301조'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슈퍼301조 미국의 통상법 301조를 이르는 것으로 이에 따라 관련 당국은 불공정무역 관행에 해당되는 사안을 대상으로 상대국에 대해 시정 요구와 보복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불공정무역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① 미국 상품에 대한 부당한 관세 및 수입 제한 조치 ② 미국의 통상을 제한하는 정책 ③ 무역 상대국의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보조금 지급 ④ 식량, 원자재, 제품, 반제품 등에 대한 공급 제한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미국은 이 조항의 적용 범위를 상품뿐만 아니라 서비스와 투자 분야를 포괄하도록 확대하였습니다. ※ 연관검색어 긴급수입제한조치 상계관세 2024. 6. 19. 이전 1 2 3 4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