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선불카드/선불전자지급수단'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선불카드/선불전자지급수단
선불형카드는 이용고객이 전자적 또는 자기적 방법으로 일정금액을 저장한 카드를 카드발행자로부터 구입하여 상품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시마다 대금이 자동으로 차감 지급되도록 한 카드로서 사용범위에 따라 범용 선불형카드와 단일목적 선불형카드로 구분됩니다.
범용 선불형카드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 대금의 지급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단일목적 선불형카드는 일정지역 또는 특정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선불형카드는 신용카드사가 발행하는 선불카드와 은행 등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전자화폐, 전자금융업자가 발행하는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구분됩니다.
대부분의 신용카드사들은 카드한도가 미리 정해져 있어 그 범위내에서 일반 신용카드처럼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고 재충전도 가능한 기명 선불카드 또는 무기명 선불카드(기프트카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은 IC카드형과 네트워크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IC카드형은 주로 교통부문을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네트워크형은 사이버쇼핑몰 등의 대금결제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연관검색어
지급수단 - 상품매매는 일정기간 후의 화폐지급 약속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외상매출·외상매입으로, 이 신용에 의한 매매는 채권·채무 관계를 만들어 낸다. 여기서 파는 편은 채권자가 되며, 현재의 화폐 없이 상품을 매입하는 편은 채무자가 되었다가 일정기간 후에 화폐를 지급하는 것에 의하여 채무를 소멸시킨다. 화폐는 이렇게 하여 지급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직불카드 - 고객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할 때 그 점포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대금을 자기의 은행계좌로부터 점포(가맹점)의 계좌로 자동이체하여 결제하는 카드를 말한다. 직불카드가 신용카드와 다른 점은 신용카드는 상품구입 후 대금결제까지 50~60일의 신용기간을 부여받는 데 반해 직불카드는 유예기간 없이 즉시 결제된다는 것이다.
전자화폐 - IC카드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 은행예금이나 돈 등이 전자적 방법으로 저장한 것으로 현금을 대체하는 전자 지급 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