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긴축정책'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긴축정책
경기과열 우려가 있는 경우에 재정 또는 통화정책으로 국민의 소득을 감소시켜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위축시키고 경기의 과열을 방지하려는 정책을 긴축정책(contractionary policy)이라고 합니다.
경기과열 - 투자나 재정의 확대 등 수요 측면의 과잉 현상으로 수요·공급의 균형이 무너지고 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인플레이션), 수입 초과로 인한 국제수지의 악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활발한 경기 현상. 경기 과열은 결국 경기 불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부는 총수요를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한다.
경기가 과열되어 물가급등에 대한 염려가 커지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는 예산을 편성·실행함에 있어서 지출을 삭감·억제함과 동시에 공채의 정리 및 신규모집을 하지 않는 정책을 취합니다.
세입 일부를 다음 연도로 이월하거나 공정이율의 인상을 중심으로 하는 금융긴축 조치 등도 시행됩니다.
세입 - 한 회계 연도에 있어서의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수입.
공정이율 - 금융시장의 표면적 금리로서 일반 시장 금리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며, 중앙은행은 이를 변경함으로써 각종 금리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시장에서의 자금의 수요, 공급관계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중앙은행은 물가급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을 줄이거나 금리를 인상합니다. 이렇게 되면 두 경우 모두 국민의 소득을 줄이게 되고 소득이 줄어든 국민은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를 줄이게 되어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 연관검색어
경기조절정책/경기안정화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