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140/700) 기저효과

by 호기심 Curious 2023. 12. 7.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 중에 하나인 '기저효과'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저효과

 

기저효과(base effect)는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즉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저효과는 물가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됩니다. 예를 들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동기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입니다.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최고의 컨디션)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가을의 과일가격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경제지표를 보다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준시점에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는지 살펴보고, 그로 인해 비교시점의 지표가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연관검색어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시계열 - 통계계열의 일종. 일반적으로 어떤 양의 관측결과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계열로 정리한 것을 통계계열이라고 한다. 어떤 관측치 또는 통계량의 변화를 시간의 움직임에 따라서 포착하고 이것을 계열화하였을 때, 이와 같은 통계계열을 시계열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