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115,116/700) 금산분리, 금융 하부구조

by 호기심 Curious 2023. 11. 9.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금산분리', '금융 하부구조'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금산분리

 
산업자본이 은행지분을 일정한도 이상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금산분리라고 합니다.
 

 

 
 
은행업 등 금융산업은 예금이나 채권 등을 통하여 조달된 자금을 재원으로 하여 영업활동을 해서 자기자본비율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금융산업의 소유구조는 다른 산업에 비해 취약한 편이며 산업자본의 지배하에 놓일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은행법을 통해 산업자본이 보유할 수 있는 은행지분을 4% 한도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금융 하부구조

 
지급결제시스템, 신용평가제도, 주식시장, 선물시장 등과 같이 금융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각종 제도적 장치 및 기관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민 경제 발전의 기초가 되는 도로, 항만, 철도, 통신, 전력, 수도 따위의 공공시설 등과 같이 실물경제에서 생산에 직접 기여하지는 않으나 생산활동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회간접자본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금융 하부구조(financial infrastructure)가 잘 갖춰지면 금융거래가 투명해지고 금융기관이 각종 위험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융 중개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금융의 효율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