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47/700) 고정금리부채권(SB)

by 호기심 Curious 2023. 9. 19.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고정금리부채권(SB)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정금리부채권(SB)

 
고정금리부채권(Straight Bond)이란 정해진 기일에 고정된 이자를 지급하고 정해진 만기에 원금을 지급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채권으로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의 주식전환권과 같이 특별한 조건이 없는 채권을 말합니다. 회사채국채 등 대부분의 채권이 고정금리부로 발행됩니다.
 
전환사채 - 사채로 발행되나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채권 보유자의 청구가 있을 때 미리 결정된 조건대로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특약이 있는 사채. 전환전에는 사채로서의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고 전환 후에는 주식으로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사채와 주식의 중간 형태를 취한 채권이다.

회사채 - 주식회사가 일반 대중에게 자금을 모집하려고 집단적·대량적으로 발행하는 채권.
국채 - 한 나라의 정부가 정부지출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무증권.
 
 

 
 
이에 대비되는 채권으로 변동금리부채권(FRN; Floating Rate Note)이 있습니다. 이는 정해진 기일에 특정 금리(예: 국내에서는 3개월 CD금리, 해외에서는 LIBOR금리)에 연동된 금리를 지급하고 정해진 만기에 원금을 지급하는 채권입니다.
 
CD금리 - 코픽스 금리와 함께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결정하는 기준금리.
코픽스 금리 - 국내 8개 은행 자금조달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자금조달비용(예금금리)지수.
LIBOR금리 - 영국 런던에서 신뢰도가 높은 인류 은행들끼리 단기적인 자금거래에 적용하는 대표적 단기금리.
 
 

 
 
고정금리부채권에 대한 투자는 향후 금리 하락이 예상될 때 유리하며 금리 상승이 예상될 때에는 변동금리부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한편 인플레이션이 심할 때 인플레이션을 헤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이 물가연동채권인데 이는 원금이 물가상승률(주로 CPI 사용)에 연동하여 증가한다는 면에서 변동금리부채권과 구별됩니다.
 
물가연동채권 - 투자 원금에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뒤 그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으로,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더라도 채권의 실질가치를 보전해준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상품으로 꼽힌다.

CPI(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물가지수
 
 




※ 연관검색어

 

변동금리부채권(F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