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3,4/700) 가계순저축률, 가계신용통계

by 호기심 Curious 2023. 9. 3.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가계순저축률'과 '가계신용통계'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계순저축률

 
일반적으로 저축률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세금과 주거비, 공과금, 식비 등과 같이 필수로 사용해야 하는 돈을 제외한 금액으로, 소비나 저축으로 내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돈)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순저축액을 가계순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연금제도에 의해 모여진 자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여기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국가가 국민에게 현물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서 의료와 무상교육, 무상진료, 공공임대주택 등이 해당됩니다.
 
 

 
 
또한 연금기금의 가계분지순 증감조정액을 분모에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등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부담금과 연금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부문의 저축액을 정확히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계순저축률(%) = {가계부문순저축/(가계순처분가능소득 + 사회적 현물이전수취 +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 x100

 
 

 
 

가계신용통계

 
가계신용통계는 가계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규모를 나타내는 통계입니다. 가계신용은 사채를 제외하고 일반 가계가 금융기관 뿐 아니라 정부, 판매회사 등 기타 기관에서 직접 빌린 돈과 신용판매회사 등을 통해 외상으로 구입한 금액을 모두 합한 것으로 크게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분됩니다.
 
가계대출은 크게 가계일반자금대출과 가계주택자금대출로 나뉘는데 가계일반자금대출이란 은행보험사 등에서 빌린 일반대출금, 신용카드회사의 현금 서비스 및 카드론이 포함됩니다. 가계주택자금대출은 주택은행 등에서 집을 사기 위해 빌린 돈입니다.
 
판매신용은 신용카드로 물품을 구입하거나 자동차, 가전제품, 기타상품을 할부로 구입한 금액을 말합니다.
 
현재 가계신용통계는 2002년 말 잔액부터 분기별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가계신용통계는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부채 규모 및 변동 등을 파악하는 데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 연관검색어

 

가계처분가능소득

 

저축률/순저축/평균소비성향/평균저축성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