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169/700) 대기성 여수신제도

by 호기심 Curious 2024. 1. 10.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 중에 하나인 '대기성 여수신제도'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기성 여수신제도

 

대기성 여수신제도(standing facilities)는 주요국 중앙은행에서 대출제도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대기성 여신제도는 중앙은행이 차입기관의 자금사정이나 자금용도 등에 대한 제한 없이 단기자금을 제공하되 시장금리보다 높은 벌칙성 금리로 제공하는 담보대출제도를 말합니다.

 

 

 

 

차입은행이 기본적인 자산건전성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한 차입수요에 따라 제한 없이 자금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금융기관의 단기 유동성 부족을 해소하는 안전판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대기성 여신제도 하에서 단기시장금리는 대기성 여신금리보다 높아지기 어렵기 때문에 대기성 여신금리가 단기시장금리의 상한기능을 수행합니다.

 

 

 

 

이에 비해 대기성 수신제도는 중앙은행이 은행의 여유자금을 금액 제한 없이 수신하여 정책금리보다 낮은 금리를 지급하는 제도로서 대기성 수신금리는 단기시장금리의 하한기능을 수행합니다.

 

선진국 중앙은행 중 대기성 여수신제도를 모두 운용하는 나라는 유로지역,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입니다. 미 연준은 대기성 여신제도를 운용하고 있지만 대기성 수신제도는 운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미 연준은 초과 지급준비금에 지급하는 금리(IOER)가 하한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기시장금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