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에 하나인 '근원인플레이션율'에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근원인플레이션율
근원인플레이션율(core inflation rate)은 물가변동을 초래하는 여러 요인들 가운데 일시적인 공급충격의 영향을 제외한 기조적인(기본적인 흐름에 따른) 물가상승률을 말합니다.
공급충격 - 상품이나 서비스의 급격한 공급 증가 또는 감소에 따른 가격변화.
대부분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서 농산물 가격, 국제원자재가격 등의 변동 부분을 제거하여 계산합니다.
우리나라는 근원인플레이션 지표로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를 작성해 왔으며, 2010년 기준 지수부터 OECD 방식에 의한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를 추가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근원인플레이션율은 물가에 미치는 단기적 충격이나 불규칙 요인이 제외되어 기조적인 물가상승의 흐름을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일반 국민이 실제 느끼는 체감물가와 괴리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