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어린이

(146/700) 기타기본자본(Additional Tier 1)

by 호기심 Curious 2023. 12. 14.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 중에 하나인 '기타기본자본(Additional Tier 1)' 대해서 쉽게 풀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타기본자본(Additional Tier 1)

 

기타기본자본(ATI; Additional Tier 1)은 요건을 충족하는 기타기본자본증권 및 이와 관련된 자본잉여금, 자회사가 발행한 기타기본자본증권의 제3자 보유분 중 일부 금액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타기본자본증권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금자, 일반채권자 및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 영구적, 배당 및 이자지급의 임의성 중도상환 유인이 없을 것 등 총 14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후순위채권 - 담보 없이 발행자의 일반 신용만으로 발행된 회사채이자, 채권발행기관이 부도를 내거나 파산했을 때 변제 순위가 가장 늦은 채권을 말한다.

 

 

 

 

BIS 자기자본비율 - 분자를 구성하는 자기자본 중 보통주자본(CET1; Common Equity Tier 1)과 기타기본자본(AT1; Additional Tier 1)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제시한 은행의 자기자본(순자산)비율. 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BIS)은 자기자본을 위험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보통주자본금(CET1) - 기업은 외부로부터 투자를 받거나 또는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행위(증자)를 할 때 즉 회사에서 주식을 발행(유상증자)을 할 때 등장하는 계정이 보통주자본금, 우선주자본금이다.

 

자기자본비율 - 총 자산 중에서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비율로 기업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가늠하는 지표.